반응형
유튜버·애드센스 수익, 신고 안 하면 진짜 어떻게 되나?
“외화로 받았으니까 괜찮겠지”, “개인통장으로 들어왔으니 안 걸리겠지”… 이제 이런 생각은 위험합니다. 국세청은 이미 유튜브, 애드센스, 아마존 킨들, 스마트스토어, 쿠팡파트너스 등 다양한 플랫폼 수익을 AI+데이터 연동으로 추적하고 있습니다.
1. 애드센스 수익은 왜 '신고해야 하는 수입'일까?
- 구글 애드센스 수익은 해외에서 발생한 국외소득입니다.
- 외화 입금 내역은 모두 금융기관이 국세청에 통보합니다.
- 환율 적용하여 원화로 환산 → 사업소득 또는 기타소득으로 분류됩니다.
※ 개인사업자라면 사업소득으로 부가세 포함 신고, 일반인·프리랜서는 기타소득(60% 필요경비 인정)으로 간편 신고할 수 있습니다.
국세청 신고 누락하면 이렇게 됩니다! 세무조사 바로 들어오는 5가지 사례
국세청에 딱 걸립니다: 이렇게 신고하면 세무조사 대상 됩니다 국세청 세무조사 대상 기준 확인하러 가기 "이 정도는 괜찮겠지?"라고 신고했다가 국세청에 딱 걸리는 사례, 요즘 정말 많습니다.
mynote2822.com
2. 실제로 안 신고하면 어떻게 되나요?
- 소득세 + 가산세 10~20% 추가 납부
- 2년치 이상 누락 시 세무조사 대상
- 국외소득은 이중과세 방지협약에 따라 신고만 하면 세율 유리
※ 사례1. 프리랜서 C씨
블로그 애드센스로 매달 $500씩 2년간 누락 → 세무조사 후 소득세 약 220만 원 + 가산세 20% 추가 납부 “구글 입금이라 모르겠지” 했지만, **외화통장 입금 기록**이 국세청 전산에 이미 잡혀 있었습니다.
※ 사례2. 유튜버 D씨
수익 신고 누락으로 1인 미디어 대상 세무조사에 포함. 영상 편집비, 장비 구매 등 경비 처리를 정리하지 못해 불리한 과세 결과를 받음.
3. 애드센스 수익 신고 방법
[개인 프리랜서용 - 기타소득 신고]
- 홈택스 로그인 → 종합소득세 신고 클릭
- 기타소득 선택 → 애드센스 수익 입력
- 필요경비율 60% 자동 반영 → 세액 자동 계산
[사업자 등록자용 - 사업소득 신고]
- 부가세 포함 신고 (1월~6월: 7월 / 7월~12월: 1월)
- 외화 환산 기준은 입금일 기준 고시 환율 사용
- 소득세 신고는 5월 종합소득세 기간에 함께 진행
4. 자주 묻는 질문 (FAQ)
- Q. 해외에서 받은 외화는 무조건 신고 대상인가요?
A. 네, 국내에 입금된 순간부터 과세 대상입니다. - Q. 금액이 작아도 신고해야 하나요?
A. 연 300만 원 이하라면 간편 신고로 세금 거의 없음. 신고 자체가 중요 - Q. 계좌 여러 개로 나눠 받으면?
A. 모든 계좌의 입금 내역은 국세청에 공유됩니다. 숨길 수 없습니다.
관련 링크 바로가기
※ 본 글은 애드센스 및 유튜브 수익 신고에 대한 정보 제공 목적입니다. 정확한 세금신고는 세무사 상담을 권장합니다.
반응형
'재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영업자 절세한다고 경비 처리? 국세청이 싫어하는 영수증 TOP5 (0) | 2025.05.03 |
---|---|
가짜 세금계산서 누구까지 처벌받나 발행자·수취자 책임 전격 비교 (0) | 2025.05.03 |
실비보험 최저가 가입폭주! 2025년형 실손보험 달라진 점 총정리 (0) | 2025.05.01 |
기아 타스만 vs 포드 레인저 비교 – 어떤 픽업이 내게 맞을까? (0) | 2025.04.30 |
상가 공시지가로 임대료 추정하는 방법 (완전 쉬운 설명) (0) | 2025.04.28 |